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
최근 수정 시각:
패로인 애니에서 넘어옴
분류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상위 문서: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패배 히로인 이 너무 많아! (2024)負けヒロイン が 多すぎる!Makeine: Too Many Losing Heroines! | |||||||||||||||||||||||||||||||||||||||||||||||||||||||||||||||||||||
|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 負けて輝け、少女たち!"'패배해서 빛나라, 소녀들!'
- 2023년
- 12월 14일, TV 애니메이션화 결정과 함께 방영 연도가 공개되었다. #
- 2024년
- 03월 17일, 캐릭터 비주얼과 제1탄 PV, 주요 스태프진, 그리고 엔딩 테마가 공개되었다. #
- 04월 20일, 실연의 날을 기념해 야나미 안나의 짝사랑 비주얼과 토오노 히카루의 캐스트 코멘트, 그리고 설정화 일부가 공개되었다. #
- 05월 09일, 고백의 날을 기념해 야키시오 레몬의 짝사랑 비주얼과 와카야마 시온의 캐스트 코멘트가 공개되었다. #
- 05월 23일, 키스의 날을 기념해 코마리 치카의 짝사랑 비주얼과 테라사와 모모카의 캐스트 코멘트가 공개되었다. #
- 06월 09일,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는 것과 함께 패배 히로인들이 '지지 않기 위한 전략'을 설명하는 전략 발표 생방송을 진행했다. #
- 기타 캐릭터의 캐릭터 디자인과 성우, 메인 비주얼, 메인 PV, OP 정보, 방송 정보를 공개하였다.
- 작품의 무대인 아이치현 토요하시시와 도쿄도 토요스에서 6월 30일, 제1화, 제2화의 선행상영회와 토크쇼를 개최한다.
- 2024년 3월부터 작품의 무대인 아이치현 토요하시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작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와 ㈜JR도카이와의 콜라보 캠페인 내에서 등장 캐릭터들이 자칭하고 있던 '토요하시 응원대'가 토요하시시로부터 정식으로 공인되었다.『토요하시 응원대』 공인 기념 세리머니 레포트 영상
애니메이션화 결정 PV |
제1탄 PV |
제1탄 PV(Shorts 버전) |
메인 PV |
메인 PV(Shorts 버전) |
야나미 안나 PV | 야키시오 레몬 PV | 코마리 치카 PV |
애니박스 제1탄 PV |
애니박스 메인 PV |
원작 아마모리 타키비 큰일 났습니다.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드디어 애니화입니다. 제가 자란 토요하시의 거리에서 등장인물들이 활약하는 것이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이것도 그동안 응원해주신 여러분, 관계자 분들 덕분입니다! 실컷 차이고 실컷 울고, 그럼에도 빛나는 패배 히로인들의 청춘을 애니메이션으로 함께 즐깁시다! 캐릭터 원안 이미기무루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애니화 축하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이야~ 드디어 발표하게 되어 기쁩니다. 아마모리 선생님, 담당 편집자님과 함께 애니메이션 스태프님의 토요하시 로케이션 헌팅에 동행하기도 해서 즐겁게 만들고 있습니다(이때의 폭소 해프닝을 언젠가 어디선가 이야기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웃음)). 그러므로 부디 다음 소식을 기대해 주세요! |
봇치보로마루 COMMENT 이번 OP를 담당하게 된 봇치보로마루입니다! 최고의 이야기입니다. 무척 영광입니다!!! 원작을 읽었을 때 '라노벨 속의 이 분위기가 너무 좋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양한 작품 속 패배 히로인들을 마음에 그리며, 무엇보다 본 작품의 엄청나게 매력적인 패배 히로인들을 향한 뜨거운 마음을 담아냈습니다! 네크라이토키의 못사 씨와 함께 즐거움을 잔뜩 보내드리겠습니다! 꼭 즐겨주세요!!! |
자세한 내용은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OP つよがるガール feat. もっさ(ネクライトーキー) 강한 척하는 girl feat. 못사(네크라이토키)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노래 | ||
작사 | ||
작곡 | ||
편곡 | ||
게스트 보컬 | ||
|
원작 분량과 애니메이션의 진도로 미루어 봤을 때 1쿨 안에 등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등장인물이 등장한다.
패로인 응원! 커버송 시리즈
マケイン応援!カバーソングシリーズ
엔딩은 총 세 개로, 주역인 야나미 안나, 야키시오 레몬, 코마리 치카가 각각 커버한 「패로인 응원! 커버송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LOVE 2000 문서 참고하십시오.
ED1 (1~4화) LOVE 2000 | |||
TV ver. | |||
Full ver. | |||
Original ver. | |||
노래 | |||
작사 | |||
작곡 | 카마타 마사토(鎌田雅人) | ||
편곡 |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 ||
| |||
|
엔딩 애니메이션은 셀 애니메이션을 좋아해 카메라로 직접 찍어가면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영상 작가 순주함 본타(巡宙艦ボンタ)가 연출했으며[7] 작화는 오오타니 아오이가 했다.
셀화를 투과해 배경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그림까지 카메라로 촬영해서 만들었다.# 메이킹 필름 다만 실제 셀 애니메이션은 이렇게 만들지 않고 촬영대가 존재한다. 정확히는 셀을 응용한 다른 기법이다.[8] 참고 자료
그림과 실사 배경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셀 애니에서 쓰이는 셀을 구입해서 만들었다. 셀 판매 업자 측 말로는 2013년 9월 29일 사자에상 이후 10년 9개월 만의 신작 셀화 지상파 TV 방송이라고 한다.
1, 2, 3화 각각 엔딩 영상 일부분이 야나미, 야키시오, 코마리의 패배 스토리에 걸맞게 바뀌었다.
셀화를 투과해 배경을 촬영하는 방식으로 그림까지 카메라로 촬영해서 만들었다.# 메이킹 필름 다만 실제 셀 애니메이션은 이렇게 만들지 않고 촬영대가 존재한다. 정확히는 셀을 응용한 다른 기법이다.[8] 참고 자료
그림과 실사 배경을 동시에 촬영하기 위해 셀 애니에서 쓰이는 셀을 구입해서 만들었다. 셀 판매 업자 측 말로는 2013년 9월 29일 사자에상 이후 10년 9개월 만의 신작 셀화 지상파 TV 방송이라고 한다.
1, 2, 3화 각각 엔딩 영상 일부분이 야나미, 야키시오, 코마리의 패배 스토리에 걸맞게 바뀌었다.
1화부터 4화까지 엔딩 중간에 나오는 텍스트가 해당 화수 분량에 해당하는 원작 소설의 문장으로 매번 바뀌었다.
자세한 내용은 CRAZY FOR YOU(Kylee) 문서 참고하십시오.
ED2 (5~7화) CRAZY FOR YOU | ||
TV ver. | ||
Full ver. | ||
Original ver. | ||
노래 | ||
작사 | 이소가이 사이먼(磯貝サイモン) | |
작곡 | ||
편곡 |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 |
|
ED3 (8~11화) feel my soul | ||||||||
TV ver. | ||||||||
Full ver. | ||||||||
Original ver. | ||||||||
노래 | ||||||||
작사 | ||||||||
작곡 | ||||||||
편곡 | 무라타 유이치(村田祐一) | |||||||
| ||||||||
|
8~10화와 11화의 영상이 조금 다르다. 10화까지는 코마리의 뒷모습을 비추며 영상이 끝나지만 11화에서는 돌아서 있던 코마리가 뒤를 힐끗 보더니 뒤돌아 활짝 웃으며 마무리된다.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 패로인 응원! 커버송 컬렉션 | |||||||||||||||||||||||||||||||||||||||||||||||||||||||||||||||||
|
발매 결정 CM |
- 전화 각본: 요코타니 마사히로
- 대부분의 제목은 원작의 목차 중 분량에 해당하는 소제목이 그대로 쓰인 것이다.
- 최종화는 원작자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오리지널 에피소드이다. 제목은 원작의 신인상 응모 시절 제목이다.
회차 | 제목[10]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화 | プロ幼馴染み八奈見杏菜の負けっぷり 프로 소꿉친구 야나미 안나의 패배 방식 | 키타무라 쇼타로 | - | 日선행: 2024.06.30. 日/韓: 2024.07.14. | ||
제2화 | 約束された敗北を君に 약속된 패배를 너에게 | 와타나베 유키 (渡辺有紀) | 사이토 준이치 (斉藤準一) 야코 히로시 | 카와카미 테츠야 | 日선행: 2024.06.30. 日/韓: 2024.07.21. | |
제3화[11] | 戦う前から負けている 싸우기 전에 패배했다 | 유키히로 코마오 (幸博コマヲ) | - | 日/韓: 2024.07.28. | ||
제4화 | 負けヒロインを覗く時、 負けヒロインもまたあなたを覗いているのだ 패배 히로인을 들여다볼 때 패배 히로인도 역시 당신을 들여다본다 | 키타무라 쇼타로 | 토비타 츠요시 (飛田 剛) | 타케다 아카네 (竹田 茜) 미우라 타쿠미츠 (三浦琢光) | 카와카미 테츠야 | 日/韓: 2024.08.04. |
제5화[12] | 朝雲千早は惑わせる 아사구모 치하야는 헷갈리게 한다 | 日/韓: 2024.08.11. | ||||
제6화 | 振られたことのない者だけが、 負けヒロインに石を投げなさい 차인 적 없는 사람만이 패배 히로인에게 돌을 던져라 | 와타나베 유키 나카니시 모토키 (中西基樹) | 와타나베 유키 아메가에루 (雨蛙) | 요시다 와카코 (吉田和香子) 야마자키 코헤이 (山崎浩平) 시게쿠니 히로코 (重國浩子) 스즈키 리사 (鈴木理彩) 이와사키 레이나 (岩崎令奈) 이시카와 토모미 (石川智美) | 日/韓: 2024.08.18. | |
제7화 | ハッピーエンドの向こう側 해피 엔딩의 애프터 | 키타무라 쇼타로 | 시미즈 타케히로 (清水雄大) | 야마자키 코헤이 스루키 사오리 (摺木沙織) 시요키 코지 (晶貴孝二) | 日/韓: 2024.08.25. | |
제8화 | おこまりでしたらコンサルに 곤란하실 땐 컨설턴트에게 | 토마리 코키 (渡真利晃喜) | 사이토 준이치 야코 히로시 스루키 사오리 | 日/韓: 2024.09.01 | ||
제9화[13] | 先生は天井の染みかなんかだと思って、 続きをどうぞ 선생님은 천장의 얼룩이라 생각하고 계속해 주시죠 | 유키히로 코마오 | 하리바 유코 (針場裕子) 야마자키 코헤이 니이 마나부 | 日/韓: 2024.09.08 | ||
제10화 | さようならには早すぎる 헤어지기엔 너무 이르다 | 토비타 츠요시 | 이와사키 레이나 하시구치 하야토 (橋口隼人) 코바야시 마리나 (小林茉利奈) 요시다 와카코 | 日/韓: 2024.09.15. | ||
제11화 | 結果責任についての話をしようか 무과실책임에 대해 이야기해 볼까? | 키타무라 쇼타로 | 무라세 키이치로 (村瀬貴一郎) 카와기시 카즈키 (川岸和樹) | 미우라 타쿠미츠 타케다 아카네 스루키 사오리 니이 마나부 | 카와카미 테츠야 | 日/韓: 2024.09.22. |
俺はひょっとして、 最終話で負けヒロインの横にいる ポッと出のモブキャラなのだろうか 어쩌면 난 마지막화에서 패배 히로인 곁에 있는 애송이 단역 캐릭터인가 | 스도 아키히토 키타무라 쇼타로 | 사이토 유우 (齋藤 悠) 시요키 코지 스즈키 리사 고다 히로아키 주하오란 야코 히로시 오오쿠보 코타로 (大久保洸太郎) 하리바 유코 이시카와 토모미 | 日: 2024.09.29. 韓: 2024.10.02. |
| |
| |
| |
| |
| |
| |
| |
| |
| |
|
자세한 내용은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애니메이션/에피소드 가이드 문서 참고하십시오.
- 동남아시아에서는 Aniplus Asia에서 수입하여 방영한다. #
패배 히로인이라는 차별적인 요소로 인기를 얻었던 원작의 애니메이션화라 소소하게 화제가 되었다. 무엇보다 캐릭터 원안을 맡은 이미기무루가 원작 발매 이후 방영한 리코리스 리코일로 인지도가 폭발적으로 올라간 상태라 애니화가 순조롭게 이루어진 게 아니냐는 반응도 있었다.
정식으로 공개된 PV를 비롯한 애니 비주얼의 반응은 굉장한 호평을 받았다. PV에서 선보인 바로는 좋은 작화와 캐릭터 연기를 보여주고 있고, 배경 미술이 특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는데 캐릭터 디자인이 원작과는 사뭇 다르고 조명이 어두웠기 때문이다.[17] 그래서 마치 빙과와 같은 드라이한 느낌의 청춘물 느낌이 난다는 평도 있으나 기존 애니메이션에선 잘 볼 수 없었던 독특한 조명 활용이 촬영과 어우러져 현실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는 호평이 많다. 캐릭터 디자인도 실제 PV에서는 준수하다는 평이 많았으며 4월 20일[18]에 추가 공개된 캐릭터 디자인은 캐릭터 비주얼에서와는 다르게 캐릭터 디자인이 좀 더 자연스럽게 개선된 것으로 보여 기대하는 이가 더욱 늘었다. 감독 키타무라 쇼타로도 본작이 데뷔작인 점에서 우려를 사고 있으나 참여작에서는 연출력이 좋다는 평을 받았다.
메인 PV 공개 후에도 호평이 자자하다. 키타무라 감독과 키쿠치 프로듀서가 연신 음향을 강조하며 "꼭 선행 상영회에서 봐달라"는 말을 했는데 이쪽에 굉장한 공을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 감독 프로듀서
무엇보다 참여한 제작진의 명성이 높아서 화제가 되었다.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카와카미 테츠야는 86 -에이티식스-로 일약 인기 애니메이터가 되었고, 그외 같은 제작사였던 키쿠치 유이치로를 비롯한 카구야 님, 이미기무루가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리코리스 리코일에서 스태프 일부가 다시 모였다. 미술 감독을 맡은 하타케야마 유키는 서머타임 렌더와 여름을 향한 터널, 이별의 출구로 유명하다. 오오타니 아오이와 아리하라 케이코(有原慧悟)가 비주얼 보드라는 의문의 직책에 캐스팅되었는데 이는 방영 후 공개한다고 한다. # 또한 고다 히로아키도 참가 의사를 밝혔다.
애니화 발표가 나오기 전, 2023년 7월에 개최한 Anime expo 2023에서 키쿠치 유이치로가 카와카미 테츠야, 우시오 켄타(牛尾健太)[19]와 함께 본작에 참가하는 해외 애니메이터도 있으니 주목해달라는 이야기[20][21]를 했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작화도 기대할 수 있다.#1 #2 2024년 7월에 열린 Anime expo 2024에서도 A-1의 코어 스태프가 많이 참가하고 있다고 밝히며 기대를 한 층 끌어올렸다.
감독 특유의 채색과 조명의 호불호 외에는 특별히 불안 요소가 없다고 할 수 있다.
6월 30일에 개최된 선행 상영회 전날, "1화는 본인이 여태껏 참여한 작품 중 No.1의 완성도"라고 키쿠치 프로듀서가 발언했다. # 선행 상영회 개최 후 팬들의 반응도 "예상을 뛰어넘었다", "표정이 풍부하고 개그를 잘 살렸다"라는 등 호평이 많다. 특히 영상미적인 부분에서 많은 호평이 있다.
정식으로 공개된 PV를 비롯한 애니 비주얼의 반응은 굉장한 호평을 받았다. PV에서 선보인 바로는 좋은 작화와 캐릭터 연기를 보여주고 있고, 배경 미술이 특히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는데 캐릭터 디자인이 원작과는 사뭇 다르고 조명이 어두웠기 때문이다.[17] 그래서 마치 빙과와 같은 드라이한 느낌의 청춘물 느낌이 난다는 평도 있으나 기존 애니메이션에선 잘 볼 수 없었던 독특한 조명 활용이 촬영과 어우러져 현실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는 호평이 많다. 캐릭터 디자인도 실제 PV에서는 준수하다는 평이 많았으며 4월 20일[18]에 추가 공개된 캐릭터 디자인은 캐릭터 비주얼에서와는 다르게 캐릭터 디자인이 좀 더 자연스럽게 개선된 것으로 보여 기대하는 이가 더욱 늘었다. 감독 키타무라 쇼타로도 본작이 데뷔작인 점에서 우려를 사고 있으나 참여작에서는 연출력이 좋다는 평을 받았다.
메인 PV 공개 후에도 호평이 자자하다. 키타무라 감독과 키쿠치 프로듀서가 연신 음향을 강조하며 "꼭 선행 상영회에서 봐달라"는 말을 했는데 이쪽에 굉장한 공을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 감독 프로듀서
무엇보다 참여한 제작진의 명성이 높아서 화제가 되었다.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카와카미 테츠야는 86 -에이티식스-로 일약 인기 애니메이터가 되었고, 그외 같은 제작사였던 키쿠치 유이치로를 비롯한 카구야 님, 이미기무루가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한 리코리스 리코일에서 스태프 일부가 다시 모였다. 미술 감독을 맡은 하타케야마 유키는 서머타임 렌더와 여름을 향한 터널, 이별의 출구로 유명하다. 오오타니 아오이와 아리하라 케이코(有原慧悟)가 비주얼 보드라는 의문의 직책에 캐스팅되었는데 이는 방영 후 공개한다고 한다. # 또한 고다 히로아키도 참가 의사를 밝혔다.
애니화 발표가 나오기 전, 2023년 7월에 개최한 Anime expo 2023에서 키쿠치 유이치로가 카와카미 테츠야, 우시오 켄타(牛尾健太)[19]와 함께 본작에 참가하는 해외 애니메이터도 있으니 주목해달라는 이야기[20][21]를 했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작화도 기대할 수 있다.#1 #2 2024년 7월에 열린 Anime expo 2024에서도 A-1의 코어 스태프가 많이 참가하고 있다고 밝히며 기대를 한 층 끌어올렸다.
감독 특유의 채색과 조명의 호불호 외에는 특별히 불안 요소가 없다고 할 수 있다.
6월 30일에 개최된 선행 상영회 전날, "1화는 본인이 여태껏 참여한 작품 중 No.1의 완성도"라고 키쿠치 프로듀서가 발언했다. # 선행 상영회 개최 후 팬들의 반응도 "예상을 뛰어넘었다", "표정이 풍부하고 개그를 잘 살렸다"라는 등 호평이 많다. 특히 영상미적인 부분에서 많은 호평이 있다.
1화부터 작화, 배경 미술, 음향 등 여러 면에서 아주 훌륭한 퀄리티를 선보였다. 특히 2010년대 초 라이트 노벨 전성기에 유행한 청춘물의 향수를 느끼게 하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올드 팬들의 많은 호응이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음향에 굉장히 많은 신경을 썼고 실제로 고퀄리티를 자랑하는데 이를 위해 모든 화를 채색까지 다 된 상태에서 음향 작업을 한다고 한다. #
특히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지면서 더욱 강화된 야나미 안나의 먹성과 똘끼에 관한 연출이 호평이다. 다른 캐릭터들의 비중을 줄이는 와중에도 야나미의 매력을 어필할 수 있는 분량은 최대한 살리는 식으로 작품의 코미디 요소를 부각시켰다. 예시로 5화의 "바람피는 건데?!"라고 야나미가 소리를 지르는 장면은 성우가 완전히 갈라지는 목소리로 열연한 탓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공식 쇼츠
3화는 선행컷의 그림체가 이전 화들과 달라 방영 전부터 일부 팬들의 우려를 샀다. 방영 후 제작진들이 "제가 하고싶었던 것"#, "그림이 강했다(絵が強い)", "매력이 넘쳤다"# 등의 발언을 남긴 것으로 보아 제작진의 요청으로 고다 히로아키가 단독 작화감독을 맡은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그런 것으로 밝혀졌다. # 이로써 그림체가 고다 히로아키의 스타일로 바뀐 것도 의도적이었던 걸로 보인다. 방영 후 키쿠치 프로듀서가 고다 히로아키를 기용한 이유를 밝혔다. #
작화 스타일과는 별개로 원작의 전개를 적절히 각색해 코마리 치카의 패배 장면을 극적으로 부각시킨 우시지마 신이치로의 3화는 많은 시청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1화부터 이어진 엔딩곡 LOVE 2000의 삽입 방식과 각화 제목의 연출 방식도 호평.
원작의 1권 분량을 마무리하는 4화는 이전보다 많은 분량을 소화해야 하는 탓에 이야기의 템포가 빠르게 구성되어 있어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일부 아쉬움을 표하는 반응이 있으나, 원작 초월까지는 아니더라도 가능한 분량 내에서 매듭을 잘 지었다는 호평이 우세하다.
5화에서는 누쿠미즈와 아사구모가 숨어있다가 미츠키에게 들키는 상황이 나오는데 티셔츠를 이용한 연출이 호평이었다.
7화는 제작진들의 기대해달라는 말에 부응하듯 한여름의 밤 분위기에 걸맞게 야키시오의 이별 스토리를 잘 살려내며 원작 2권 분량을 마무리했다. 스토리와 연출을 중점으로 보는 팬들에게는 호평을 받았으나, 4화와 마찬가지로 이전화와 상반된 분위기에 거부감을 표하는 반응도 있다.
12화는 원작자가 직접 쓴 에피소드임을 증명하듯 호평이었다. 이 에피소드 덕분에 4권에서 야나미가 보여준 행동이 이해된다는 평. 이 과정에서 본인들은 어른들의 데이트 라는 컨셉트로 여기저기 돌아다니지만 실상은 그냥 데이트나 다름없었으며 관람차에서의 스킨쉽 같은 행동에 대한 카메라 3프레임 블러 효과와 누쿠미즈와 야나미 간의 오해할 법한 카메라 구도와 야나미의 작중 처음으로 표현된 아랫입술의 색이 들어간 걸로 비춰볼 때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아냈다.
애니메이션의 퀄리티는 흠잡을 곳 없이 뛰어나지만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은 작품의 컨셉 자체와 각본 스타일. 이는 엄밀히는 애니메이션이 아닌 원작의 특징이지만 원작이 그렇게 잘 알려진 작품이 아니라 가벼운 분위기의 전형적인 러브 코미디로 생각하고 유입된 팬들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무거운 면이 있는 서사에 곤란함을 표하기도 한다.[22] 원작 팬들 역시 누쿠미즈의 활약이 많이 잘려나간 부분에 대해서 아쉽다는 반응이 있다.
원작자 아마모리 타키비는 애니메이션 퀄리티를 호평하였으며 특히 배경이 마음에 든다고 한다. #
리코리스 리코일의 서브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야마모토 유미코와 애니메이터 미야카와 슌이 호평했으며 #. #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 또한 여러 사람이 마치 신카이 작품 같다고 해서 봤는데 재밌었다고 호평했다.[23]
특히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지면서 더욱 강화된 야나미 안나의 먹성과 똘끼에 관한 연출이 호평이다. 다른 캐릭터들의 비중을 줄이는 와중에도 야나미의 매력을 어필할 수 있는 분량은 최대한 살리는 식으로 작품의 코미디 요소를 부각시켰다. 예시로 5화의 "바람피는 건데?!"라고 야나미가 소리를 지르는 장면은 성우가 완전히 갈라지는 목소리로 열연한 탓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공식 쇼츠
3화는 선행컷의 그림체가 이전 화들과 달라 방영 전부터 일부 팬들의 우려를 샀다. 방영 후 제작진들이 "제가 하고싶었던 것"#, "그림이 강했다(絵が強い)", "매력이 넘쳤다"# 등의 발언을 남긴 것으로 보아 제작진의 요청으로 고다 히로아키가 단독 작화감독을 맡은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그런 것으로 밝혀졌다. # 이로써 그림체가 고다 히로아키의 스타일로 바뀐 것도 의도적이었던 걸로 보인다. 방영 후 키쿠치 프로듀서가 고다 히로아키를 기용한 이유를 밝혔다. #
작화 스타일과는 별개로 원작의 전개를 적절히 각색해 코마리 치카의 패배 장면을 극적으로 부각시킨 우시지마 신이치로의 3화는 많은 시청자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1화부터 이어진 엔딩곡 LOVE 2000의 삽입 방식과 각화 제목의 연출 방식도 호평.
원작의 1권 분량을 마무리하는 4화는 이전보다 많은 분량을 소화해야 하는 탓에 이야기의 템포가 빠르게 구성되어 있어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일부 아쉬움을 표하는 반응이 있으나, 원작 초월까지는 아니더라도 가능한 분량 내에서 매듭을 잘 지었다는 호평이 우세하다.
5화에서는 누쿠미즈와 아사구모가 숨어있다가 미츠키에게 들키는 상황이 나오는데 티셔츠를 이용한 연출이 호평이었다.
7화는 제작진들의 기대해달라는 말에 부응하듯 한여름의 밤 분위기에 걸맞게 야키시오의 이별 스토리를 잘 살려내며 원작 2권 분량을 마무리했다. 스토리와 연출을 중점으로 보는 팬들에게는 호평을 받았으나, 4화와 마찬가지로 이전화와 상반된 분위기에 거부감을 표하는 반응도 있다.
12화는 원작자가 직접 쓴 에피소드임을 증명하듯 호평이었다. 이 에피소드 덕분에 4권에서 야나미가 보여준 행동이 이해된다는 평. 이 과정에서 본인들은 어른들의 데이트 라는 컨셉트로 여기저기 돌아다니지만 실상은 그냥 데이트나 다름없었으며 관람차에서의 스킨쉽 같은 행동에 대한 카메라 3프레임 블러 효과와 누쿠미즈와 야나미 간의 오해할 법한 카메라 구도와 야나미의 작중 처음으로 표현된 아랫입술의 색이 들어간 걸로 비춰볼 때 시청자들의 호기심을 자아냈다.
애니메이션의 퀄리티는 흠잡을 곳 없이 뛰어나지만 다소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은 작품의 컨셉 자체와 각본 스타일. 이는 엄밀히는 애니메이션이 아닌 원작의 특징이지만 원작이 그렇게 잘 알려진 작품이 아니라 가벼운 분위기의 전형적인 러브 코미디로 생각하고 유입된 팬들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무거운 면이 있는 서사에 곤란함을 표하기도 한다.[22] 원작 팬들 역시 누쿠미즈의 활약이 많이 잘려나간 부분에 대해서 아쉽다는 반응이 있다.
원작자 아마모리 타키비는 애니메이션 퀄리티를 호평하였으며 특히 배경이 마음에 든다고 한다. #
리코리스 리코일의 서브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야마모토 유미코와 애니메이터 미야카와 슌이 호평했으며 #. #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 또한 여러 사람이 마치 신카이 작품 같다고 해서 봤는데 재밌었다고 호평했다.[23]
애니화가 결정되고 1화를 방영하기 전까지만 해도 그렇게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방영이 시작되고 폭발적으로 주목도가 증가한 3분기의 다크호스로 평가받는다.
5화 방영이 끝난 이후에 북워커 라노베 일간 랭킹 1~7위를 석권하는 등 애니 방영 효과가 잘 드러나고 있다. 월간 랭킹에서도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신간을 제외하면 아래 2~8위를 원작 1~7권이 차지하였다. 아마존 랭킹도 전권 상위권을 석권하였다.
원작이 애니화전에 그렇게 인기가 있던 편이 아니라 종이책 매물이 없어서 살 수 없었다는 제보가 많다. 이미 애니화 직전과 직후에 한 번씩 증쇄를 거듭했으나 명절 때문에 작업이 늦어져서 9월 초에나 된다고 한다. 애니 방영과 함께 출간된 코믹스 3권은 재증쇄에 들어갔다. # 원작의 2차 증쇄본이 나오기도 전에 3차 전권 증쇄가 결정되었다. # 국내에서도 애니메이션 흥행효과에 힘입어 정발본의 품절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6화 방영 후에는 블루레이 전권이 아마존 랭킹 상위권을 석권하는 등 블루레이 판매량도 좋게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d아니메스토어 일일 종합 랭킹에서는 1화부터 5화까지 동분기 도망을 잘 치는 도련님에 밀려 2위를 기록했으나 6화를 기점으로 첫 1위를 차지했다. #
7월의 원작 전자 매출이 전월 대비 10배를 넘었다고 한다. #
8월의 전자 매출은 6월 대비 25배를 넘었다고 한다. 2024년 8월의 가가가 문고의 수익의 82%가 이 작품에서 나왔으며 회사 역대 최고 월간 실적이라고 한다. #
BD/DVD 1권 초동[24]은 4,564장(BD 4,224장+DVD 340장)을 기록했으며 2주차에 BD 653장을 더 팔아 5,217장을 기록했다.
5화 방영이 끝난 이후에 북워커 라노베 일간 랭킹 1~7위를 석권하는 등 애니 방영 효과가 잘 드러나고 있다. 월간 랭킹에서도 어서 오세요 실력지상주의 교실에 신간을 제외하면 아래 2~8위를 원작 1~7권이 차지하였다. 아마존 랭킹도 전권 상위권을 석권하였다.
원작이 애니화전에 그렇게 인기가 있던 편이 아니라 종이책 매물이 없어서 살 수 없었다는 제보가 많다. 이미 애니화 직전과 직후에 한 번씩 증쇄를 거듭했으나 명절 때문에 작업이 늦어져서 9월 초에나 된다고 한다. 애니 방영과 함께 출간된 코믹스 3권은 재증쇄에 들어갔다. # 원작의 2차 증쇄본이 나오기도 전에 3차 전권 증쇄가 결정되었다. # 국내에서도 애니메이션 흥행효과에 힘입어 정발본의 품절사태가 일어나고 있다.
6화 방영 후에는 블루레이 전권이 아마존 랭킹 상위권을 석권하는 등 블루레이 판매량도 좋게 나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d아니메스토어 일일 종합 랭킹에서는 1화부터 5화까지 동분기 도망을 잘 치는 도련님에 밀려 2위를 기록했으나 6화를 기점으로 첫 1위를 차지했다. #
7월의 원작 전자 매출이 전월 대비 10배를 넘었다고 한다. #
8월의 전자 매출은 6월 대비 25배를 넘었다고 한다. 2024년 8월의 가가가 문고의 수익의 82%가 이 작품에서 나왔으며 회사 역대 최고 월간 실적이라고 한다. #
BD/DVD 1권 초동[24]은 4,564장(BD 4,224장+DVD 340장)을 기록했으며 2주차에 BD 653장을 더 팔아 5,217장을 기록했다.
자세한 내용은 패배 히로인이 너무 많아!/무대탐방 문서 참고하십시오.
상당히 초기 단계에서 작업을 시작해서 '키타무라 감독이 지향하는 화면의 방향성을 조기에 구체화하여 각 섹션에 공유하기 위해' 비주얼 보드를 제작했다고 한다.
오오타니 아오이[25] |
- 화수 별
- 1화
- 3화
- 6화
- 원작의 편집자 이와아사 켄타로(岩浅健太郎)에 따르면 애니메이션화 이야기는 1권 출간 전부터 나왔다고 한다. 그 이야기로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논호이파크 콜라보, JR도카이 콜라보 등 토요하시시 지역과의 여러 콜라보를 통해 애니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고 한다. #
- '1권 출간 전부터 애니화 이야기가 돌았다'라는 말이 왜곡되어서 '공모전 수상작을 1권 출간 전부터 애니화하기로 기획했다'라는 소문이 나돌기도 하는데 위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 사실이 아니다. '이미기무루의 리코리스 리코일이 공전의 히트를 쳐서 그대로 본작의 애니화까지 이어졌다'는 소문은 정확한 시기는 고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인지 알 수 없다.
-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 애니메이션과 인연이 깊다. 애니메이션 오퍼를 받았을 때 이와아사 켄타로에게 학전도시 애스터리스크의 작가인 미야자키 유가 "학전도시 애니메이션에 대해서는 좋은 기억밖에 없다", "꼭 애니플렉스×A-1으로 가야 합니다."라고 한 것이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한다.[27] #
- 2024년 6월 30일, 토요하시 선행 상영회의 특별 게스트로 토요하시 시장 아사이 요시타카(浅井由祟)가 출연했다. #
- 키타무라 쇼타로 감독은 원작을 읽었을 때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토라도라! 같은 왕도 러브 코미디 느낌이 나서 이런 작품을 참조해서 만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야나미 안나가 너무 마이 페이스라 사람들이 그다지 안 좋아할 것 같았는데 인기가 있어서 놀랐다고 한다.
[1] 제작위원회 구성업체: 애니플렉스, BS11, TOKYO MX, 요미우리 테레비, 굿스마일 컴퍼니, 콘텐츠 시드, JR 도카이 에이전시[2] 논텔롭 버전
[3] 한글 버전
[4] 논텔롭 버전
[5] 논텔롭 버전
[6] 한글 버전
[7] 셀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촬영대가 없어(기계 생산은 오래 전에 단종되었으며 스튜디오 지브리 등 극히 일부 제작사에만 남아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위에 매달은 촬영대를 직접 만들어서 작품을 만드는 인물이다.[8] 24년 1분기 장송의 프리렌의 2쿨 ED 영상에서 멀티플레인(マルチプレーン)이라고 하는 셀 애니메이션의 촬영 방법과 동일한 기법을 사용한 적이 있다.[9]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카와카미 테츠야가 토라도라! 첫 번째 오프닝 애니메이션의 원화를 그리기도 했었다.[10]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1] 원화 마에다 타츠유키(前田達之), Kay Yu. 오오쿠보 슌스케, 카이 야스유키, 츠못키(つもっき) 등.[12] 원화 타키야마 마사아키, magho, Niii, WEB계 애니메이터 등.[13] 히메미야 카렌 가슴 코디네이터 토리이 타카후미.[원안] 원안 담당: 원작자 아마모리 타키비.[15] 원화 Zayd GHASSAN, ump, 오오타니 아오이, Kay Yu, 츠못키 등.[16] A-1 Pictures 작품 중 대원방송이 수입한 애니는 2016년판 역전재판이 마지막이라 이례적이라는 평.[17] 이는 감독의 영향이 크다. 본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키타무라 쇼타로 감독은 어두운 조명을 자주 이용한다.[18] 이 날이 실연의 날이었다고 한다(...)[19] 해외 창작자 간의 통번역을 담당하는 제작진행.[20] 사실 오늘 이곳에 있는 저와 카와카미 씨와 우시오 군이서 새로운 애니메이션 기획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거기에 방금 말씀드렸던 것처럼 해외 애니메이터 분들도 몇 분 참가해주시니까 발표할 기회가 있다면 꼭 주목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実を言うと、今日ここにいる僕と、川上さんと、あと牛尾くんで新しいアニメの企画も動かしていて、そこにはさっき言ったみたいに海外のアニメーターさんなんかも何人か参加してくれる子たちもいるので、それもぜひ、発表するタイミングがあったら注目してほしいなと、思っております。)[21] 키쿠치 유이치로는 Vercreek을 일본에 초대하기도 했었다.[22] 원작도 3권까지는 히로인들의 패배 스토리가 메인이며, 본격적인 러브 코미디 전개가 시작되는 것은 4권부터이다. 그래서 2기가 제작되지 않는 이상 러브 코미디의 색채는 옅어질 수밖에 없는 것.[23] 출처 2024년 7월 20일 날씨의 아이 재상영 무대인사.[24] 첫주 판매량[25] 왼쪽 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의 초기 비주얼 보드이다.[26] 원작 3권이 나왔을 무렵이다.[27] 이와아사 켄타로는 MF문고J에서 학전도시의 편집자를 담당했으나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고 가가가 문고로 이적했다.
[3] 한글 버전
[4] 논텔롭 버전
[5] 논텔롭 버전
[6] 한글 버전
[7] 셀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촬영대가 없어(기계 생산은 오래 전에 단종되었으며 스튜디오 지브리 등 극히 일부 제작사에만 남아있다.) 디지털 카메라를 위에 매달은 촬영대를 직접 만들어서 작품을 만드는 인물이다.[8] 24년 1분기 장송의 프리렌의 2쿨 ED 영상에서 멀티플레인(マルチプレーン)이라고 하는 셀 애니메이션의 촬영 방법과 동일한 기법을 사용한 적이 있다.[9] 캐릭터 디자인을 맡은 카와카미 테츠야가 토라도라! 첫 번째 오프닝 애니메이션의 원화를 그리기도 했었다.[10]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박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1] 원화 마에다 타츠유키(前田達之), Kay Yu. 오오쿠보 슌스케, 카이 야스유키, 츠못키(つもっき) 등.[12] 원화 타키야마 마사아키, magho, Niii, WEB계 애니메이터 등.[13] 히메미야 카렌 가슴 코디네이터 토리이 타카후미.[원안] 원안 담당: 원작자 아마모리 타키비.[15] 원화 Zayd GHASSAN, ump, 오오타니 아오이, Kay Yu, 츠못키 등.[16] A-1 Pictures 작품 중 대원방송이 수입한 애니는 2016년판 역전재판이 마지막이라 이례적이라는 평.[17] 이는 감독의 영향이 크다. 본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키타무라 쇼타로 감독은 어두운 조명을 자주 이용한다.[18] 이 날이 실연의 날이었다고 한다(...)[19] 해외 창작자 간의 통번역을 담당하는 제작진행.[20] 사실 오늘 이곳에 있는 저와 카와카미 씨와 우시오 군이서 새로운 애니메이션 기획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거기에 방금 말씀드렸던 것처럼 해외 애니메이터 분들도 몇 분 참가해주시니까 발표할 기회가 있다면 꼭 주목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実を言うと、今日ここにいる僕と、川上さんと、あと牛尾くんで新しいアニメの企画も動かしていて、そこにはさっき言ったみたいに海外のアニメーターさんなんかも何人か参加してくれる子たちもいるので、それもぜひ、発表するタイミングがあったら注目してほしいなと、思っております。)[21] 키쿠치 유이치로는 Vercreek을 일본에 초대하기도 했었다.[22] 원작도 3권까지는 히로인들의 패배 스토리가 메인이며, 본격적인 러브 코미디 전개가 시작되는 것은 4권부터이다. 그래서 2기가 제작되지 않는 이상 러브 코미디의 색채는 옅어질 수밖에 없는 것.[23] 출처 2024년 7월 20일 날씨의 아이 재상영 무대인사.[24] 첫주 판매량[25] 왼쪽 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의 초기 비주얼 보드이다.[26] 원작 3권이 나왔을 무렵이다.[27] 이와아사 켄타로는 MF문고J에서 학전도시의 편집자를 담당했으나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고 가가가 문고로 이적했다.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ehJ13k1n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이 아니며 검증되지 않았거나, 편향적이거나, 잘못된 서술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